권고사직 권고사직실업급여 권고사직위로금 권고사직회사불이익 권고사직사유 실업급여권고사직 권고사직거부 권고사직위로금세금
앞서 권고사직 용어의 정의와 받지 못하는 경우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아직 확인 못하신분은 아래 포스팅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
권고사직시 위로금도 있다고?
권고사직으로 인한 위로금의 경우 법적으로 정해진 바는 없습니다만, 요청에 의해 서로 합의 후 사직을 하는 경우이기에 사업장의 규모 및 실업 급여 대상 여부에 따라 약간의 금액 차이가 있다고 합니다
- 5인 미만 사업장 : 일반적으로는 한달정도의 급여를 주는것으로 합의보는 경우가 있고, 물론 사람과 직위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5인 이상 사업장 : 일반적으로 2달 내지 3달치 급여를 위로금으로 지급한다고합니다
권고사직시 실업급여 계산 방법 및 계산기
위의 위로금을 받을 경우 실업급여를 못받는다는 얘기가 인터넷에서 떠돌고 있는데 이는 사실이 아닙니다. 위로금을 지급받더라도 실업급여 수급자격은 인정됩니다
다만, 해당 권고사직간의 과정에 대한 사항을 정확하게 기재한 합의서가 있어야 추후 실업급여 수급에도 착오가 없이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먼저 알려드리며 계산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실업급여 기본 조건
앞서 이전 포스팅에서도 설명드렸지만 한번더 정리해드리자면 수급 조건은
수령할 수 있는 조건은?
- 고용보험 가입기간 180일 이상
- 재 취업(근로) 의사가 있는지
- 이직사유가 비자발적 사유인지[비자발적이더라도, 안되는 경우가 있으니 꼭 아래 포스팅을 확인하시길]
▼▼▼▼▼
수급 기간
퇴직 다음날부터 12개월 이내로 수급 신청할 수 있기 때문에 이직 후 지체없이 실업신고를 해야합니다
지급일자
실업급여는 최대 270일까지 지급됩니다
함께 보면 더 좋은글 ▼
▶ 하루만 넣어도 이자가 생긴다? 파킹통장 은행사별 금리 비교 및 추천
▶ “최대 연이율 10%” 청년희망적금 신청 방법 및 조건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