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희망적금 신청 방법 및 조건, 자격 혜택 해지 이자 확인 2023 24 신한 만기 금액 신청 기간 자동이체 미납 22 23 24 25 1년차 2년차\
청년희망적금에 대해 잘 알고계시나요? 단기직 알바 및 계약직이 많은 청년들을 위해 나라에서 지원하는 금융 상품입니다
오늘은 최대 연이율 10%까지도 지원해주는 청년희망적금의 신청 방법 및 나이 조건, 자격[* 연소득 얼마까지 받는지] , 납입금에 대한 만기시 금액까지도 알아보겠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이란?
알바, 인턴 및 단기 계약직 등 단기 일자리 종사 청년의 소액 자산 마련을 돕기 위해 시중금리 외에 저축장려금을 얹어 주는 금융 상품이라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의도는 젊은 세대들의 미래를 위한 안정적인 경제 기반을 위한 프로그램이면서 2019년부터 시작된 경제정책이라고도 볼 수 있죠.
짧게 정리해드리자면 이 제도는 2년 만기 적금의 형식이며, 기본 연이율 5% 적금에서 은행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최대 6%까지도 금리가 적용됩니다.
거기에 세재혜택까지도 도입되면 대략 약 10%정도의 금융상품과 비슷한 혜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청년희망적금 가입 및 신청 방법은?
기존에 목돈을 마련하기 위해서 적금을 들거나, 적금이 아니더라도 돈을 모으기 위해 통장을 분리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런 사람들에게 딱 2년만기 적금은 꽤나 관심이 가는 상품인데요

이 청년희망적금 가입 및 신청 하기 위해서는 먼저 자격요건을 확인해야합니다
- 나이 :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
- 소득 요건 : 사실 가장 중요한 요소인데, 직전년도 총 급여액이 3,600만원 이하여야합니다
거기에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이 2,600만원 이하인 사람이 기본 소득 요건에 해당됩니다 - 가입일이 속한 과세기간의 직전 3개 과세기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에 해당하지 않는 사람
마지막으로 국내에 거주하며 세금을 납부한 외국인도 위의 자격조건을 충족할 경우 신청이 가능하다고합니다
👉 “우리가 내는 세금인데…외국인도 가능하다고..?” 해당 내용 자세히보기
청년희망적금 가입 가능 은행 조회하기
시중 은행의 금리에 정부에서 추가로 지원해주는것이기 때문에 은행 모두가 하는것이 아니고 신청 및 가입할 수 있는 은행이 지정되어 있습니다
월 납입 금액에 따른 총 수령액 확인하기
위에서도 설명드렸지만 이 청년희망 적금의 개념이 은행에서 제공하는 기본금리 + 우대금리로 계산되는 적금 이자수익에 정부에서 제공하는 저축장려금이 합쳐져 만기때 비과세로 수령하는 방식입니다
금융상품에서 무조건 보게되는 이 비과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가는것도 추천드립니다 👇👇👇
월 납임금액에 따라 아래의 표와 같이 총 수령액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위의 <가입가능은행>에서도 보셨겠지만 연금리는 보통 5%로 거기에 우대금리가 은행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연금리를 세분화하여 보여드리고 있습니다
